맨위로가기

삼성 애니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성 애니콜은 1993년 브랜드 도입 이후 2010년대 초반까지 삼성전자가 출시한 대한민국의 이동 통신 단말기 브랜드이다. "한국지형에 강하다"를 시작으로 "Digital Exciting", "TALK PLAY LOVE" 등 다양한 슬로건을 사용했으며, 제품명 구조는 통신 방식, 기종 및 이동 통신사에 따라 구분되었다. 기능 및 성능 제한, 가격 거품, KT와의 갈등 등 비판도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애니콜 - 애니콜 T*옴니아 II
    삼성전자가 SK텔레콤을 통해 출시한 스마트폰 애니콜 T*옴니아 II는 낮은 사용자 만족도와 잦은 오류로 소비자 불만이 있었으며, 블루윙즈폰으로도 출시되었다.
  • 애니콜 - 애니콜 햅틱
  • 2014년 폐지 - 청원군
    청원군은 충청북도 중서부에 위치했던 군으로,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삼한시대에는 마한, 삼국시대에는 백제, 고구려, 신라의 영토였고, 2014년 청주시에 통합되기 전 3읍 10면으로 구성되어 문의문화재단지, 대청댐 등의 주요 시설이 있었다.
  • 2014년 폐지 -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은 해양 안전과 치안을 담당하는 해양수산부 소속 외청으로, 해상 경비, 해난 구조, 해상 범죄 수사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해양 주권 수호와 국민의 생명 및 재산 보호에 힘쓰고 있다.
  • 1994년 설립 - 2001아울렛
    2001아울렛은 이랜드리테일에서 운영하는 아울렛 체인으로, 서울, 경기, 인천에 지점이 있으며 과거에는 여러 지점이 존재했다.
  • 1994년 설립 - 대한민국 재정경제원
    대한민국 재정경제원은 1994년 재무부와 경제기획원을 통합하여 신설되어 경제 정책 수립, 예산 편성, 조세 정책, 금융 정책 등을 수행했으며, 1998년 재정경제부로 개편되었다.
삼성 애니콜
기본 정보
명칭삼성 애니콜
분야휴대 전화
보유자삼성전자
시작1994년
종료2014년
영어 명칭SAMSUNG Anycall

2. 역사

1994년 10월 삼성전자는 "한국 지형에 강하다"는 슬로건과 함께 휴대전화 브랜드 애니콜을 출시했다.[3] 초기에는 SCH, SPH 등의 약자와 알파벳으로 제품을 구분했는데, SCH는 Samsung Cellular Handset의 약자였다.[3]

2010년부터는 SHW, SHC, SHV 등의 약자와 알파벳, 숫자를 조합하여 통신 방식, 제품 특성, 통신사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예를 들어 SHW는 Samsung Handset Wideband-CDMA의 약자이다.[3][4]

2. 1. 슬로건의 역사

슬로건기간
한국 지형에 강하다 - 애니콜1994년 10월 ~ 1997년 9월
작은 소리에 강하다 - 애니콜/애니콜PCS1997년 10월 ~ 1998년 1월
언제 어디서나 한국인은 애니콜1998년 2월 ~ 1999년 6월
내 손안의 더 큰 세상1999년 7월 ~ 2000년 2월
내 손안의 디지털 세상2000년 3월 ~ 2001년 2월
Digital Exciting2001년 3월 ~ 2007년 9월 16일
TALK PLAY LOVE2007년 9월 17일 ~ 2011년 2월 11일
HOW TO LIVE SMART2011년 2월 12일 ~ 2012년
EFFECTS TO EVERYONE2012년 7월 2일 ~ 2014년 8월 1일


2. 2. 제품 구분

애니콜은 제품명에 통신 방식, 기종, 통신사를 구분하는 체계를 사용했다. 2010년을 기준으로 이전과 이후 방식에 차이가 있다.

2010년 이전에는 SCH, SPH 등의 약자와 알파벳으로 기종을 구분했다. 예를 들어 SCH는 Samsung Cellular Handset의 약자였다.

2010년 이후에는 SHW, SHC, SHV 등의 약자와 알파벳, 숫자를 조합하여 통신 방식, 제품 특성, 통신사를 나타냈다. 예를 들어 SHW는 Samsung Handset Wideband-CDMA의 약자이다.

2. 2. 1. 2010년 이전

애니콜의 제품명은 다음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었다.[3]

통신사제품명
SK텔레콤SCH-X000 또는 SCH-X005
KTSPH-X0000 또는 SPH-X0010 또는 SPH-X0005
LG유플러스SPH-X0050 또는 SPH-X0009 또는 SPH-X0019 또는 SPH-X0055



SCH와 SPH는 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약자였다. SCH는 Samsung Cellular Handset, SPH는 Samsung PCS Handset의 줄임말이었다. 제품명에 들어가는 알파벳에 따라 기종이 구분되었다.[3]


  • X 계열: CDMA2000 1x (X7X0 이전 고가형, X8X0 X9X00 저가형, 단종)
  • E 계열: CDMA2000 1x EV-DO rev.0 (중가형, 단종)
  • G 계열: CDMA2000 1x EV-DO rev.0 + 3D 게임(GXG,GPANG) 지원 (고가형, 후에 V시리즈에 통합), 단종
  • V 계열: CDMA2000 1x EV-DO rev.0 + VOD지원 (고가형, 대부분 모델이 단종되었으나 V840 계열, V910 계열 등 극소수 일부 모델들은 판매중)
  • S 계열: CDMA2000 1x (저가형, 단종)
  • C 계열: CDMA2000 1x EV-DO (고가형, V시리즈 단종으로 탄생됨)
  • B 계열: CDMA2000 1x EV-DO Rev. 0 + DMB + VOD지원 (고가형, SK텔레콤 전용의 경우 위성DMB 모델과 지상파DMB 모델 혼재. KTLG유플러스 전용은 극소수 초기 모델을 제외하고 모두 지상파DMB 모델)
  • W 계열: 3G WCDMA-HSDPA(SK텔레콤, KT) or CDMA2000 1X EV-DO rev.A LG유플러스 (영상통화, 고속이동통신 및 해외로밍 지원 (SK텔레콤, KT용 단말기 전체 지원, LG유플러스용 단말기 일부 지원) (중가, 고가 구분없음, 스펙에 따라 가격대가 다름)
  • M 계열: CDMA2000 1x EV-DO + DMB or CDMA2000 1x EV-DO rev.A + WIBRO IEEE 802.16e + DMB (일부 모델 영상통화(WCDMA망 사용), Wi-Fi 801.11b/g, 고가형, Windows Mobile이나 Palm OS가 내장된 스마트폰)

2. 2. 2. 2010년 이후

2010년 1월부터 출시되는 애니콜 기종들은 다음 방식을 따른다.[3][4]

형식통신 방식설명
SHW-X000YWCDMA, 일부 LG유플러스용 CDMASamsung Handset Wideband-CDMA의 약자. WCDMA 휴대전화와 일부 LG유플러스용 CDMA 휴대전화를 의미한다.
SHC-X000YCDMASamsung Handset CDMA의 약자. CDMA 휴대전화를 의미한다.
SHV-X000YLTESamsung Handset eVolution의 약자. LTE 지원 휴대전화를 의미한다.


  • X는 각 제품의 특성을 나타낸다.
  • * M: 모델명이 SHW로 시작하는 스마트폰/태블릿
  • * A: 모델명이 SHW로 시작하는 피처폰
  • * Z: 모델명이 SHC로 시작하는 피처폰
  • * E: 모델명이 SHV로 시작하는 스마트폰/태블릿
  • Y는 각 이동 통신 회사의 첫 이니셜을 나타낸다. (S: SK텔레콤, K: KT, L: LG유플러스)

3. 비판

대한민국 시장에서 삼성 애니콜은 여러 비판에 직면해왔다. 주요 비판점은 다음과 같다.


  • 기능 및 성능 제한: 세계 시장과는 달리 대한민국 출시 제품의 스펙 및 기능을 상대적으로 낮추면서도 가격은 해외 제품과 비슷하거나 더 비싸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5] 카메라 화소 및 성능, 디스플레이 해상도, 와이파이(Wi-Fi) 및 블루투스 삭제, 외장 메모리 슬롯 삭제 등이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삼성 측은 이러한 스펙 조정이 국내 소비자와 이동 통신사의 요구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했다.[5]

  • 가격 거품 논란: 삼성 옴니아2는 대한민국에서의 가격이 유럽이나 미국보다 30%나 비쌌고, '코비' 모델은 50%나 비싸다는 비판을 받았다.[6] 전문가들은 DMB 추가와 화면 크기 확대를 고려해도 이러한 가격 차이는 과도하다고 지적했다.[6]

  • KT와의 갈등: 애플아이폰 도입 이후, KT와 삼성 간의 불화가 심화되었다. 아이폰 출시로 인해 삼성은 스마트폰 부문에서 매출과 이미지에 타격을 입었다. 삼성은 KT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고, 이후 삼성 스마트폰 출시에서 KT가 제외되거나 차별받는 현상이 나타났다.[10][11][12] KT는 SK텔레콤을 통해 출시된 삼성 '갤럭시' 시리즈를 몇 개월 후에야 출시할 수 있었고, 삼성 '바다' 운영체제를 탑재한 '웨이브'는 KT 출시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12][13]

3. 1. 기능 및 성능 제한

세계 시장과는 달리 대한민국에 출시하는 제품의 스펙 및 기능을 상대적으로 하향 조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가격은 해외 출시 제품과 거의 차이가 없거나 더 비싸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카메라 화소 및 성능, 디스플레이 해상도, 와이파이(Wi-Fi) 및 블루투스 삭제, 외장 메모리 슬롯 삭제 등이 거론되고 있으며, 이러한 논란에 대해서 삼성 측은 "스펙을 하향 조정한 것이 아니라 국내 소비자와 이동 통신사의 요구에 맞춰 변경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5]

3. 2. 가격 거품 논란

삼성 옴니아2는 대한민국에서의 가격이 유럽이나 미국보다 30%나 비싼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코비' 모델은 무려 50%나 비싸 비판을 받았다. DMB가 추가되고 화면 크기가 확대되었지만, 그렇게 큰 가격 차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6]

대부분의 최근에 출시된 휴대폰의 발매 가격이 699600KRW으로 똑같다는 점을 보면 알 수 있다. 또, 일부 일반 풀터치폰의 경우 출고가가 스마트폰과 거의 대등한 정도 또는 그 이상으로 책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1200만 화소 휴대폰인 아몰레드 12M은 여느 휴대폰보다 더 비싼 1353000KRW으로 책정되어 있다. 또한, 빔프로젝터 폰인 햅틱빔이나 아몰레드빔은 T*옴니아 4GB짜리나 T*옴니아 II 8GB짜리와 같은 가격으로 책정이 되어 있다.

전체 휴대폰 시장에서 2위의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면서도 스마트폰에서는 점유율이 3%에 머물러 기술력이 부족한 것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되었다.[7]

3. 3. KT와의 갈등

애플아이폰 도입 이후, KT와 삼성 간의 불화가 시작되었다. 아이폰 출시로 삼성은 스마트폰 부문에서 매출과 이미지에 타격을 입었다. 삼성의 대표 스마트폰인 옴니아2의 만족도 조사[8]와 스마트폰 선호도 조사[9]에서 삼성은 애플에 크게 뒤처지며 굴욕을 겪었다. 이에 삼성은 KT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숨기지 않았다. 이후 삼성의 각종 스마트폰 출시에서 KT는 제외되거나,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되거나,[10]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지지 않거나,[11] 심지어 '쇼옴니아' 명칭조차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12] KT에 대한 차별이 나타났다. KT는 아이폰 출시로 큰 영향력을 얻었으나, 대한민국 최대 휴대폰 제조사인 삼성과의 불화로 인해 국내 스마트폰 확보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SK텔레콤을 통해 출시된 삼성 '갤럭시' 시리즈도 몇 개월 후에야 KT에서 출시되었고, 삼성 '바다' 운영체제를 탑재한 '웨이브'는 KT 출시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12][13] IT 업계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두고 "KT가 국내 휴대폰 단말기와 통신 서비스 업체 간 묵시적 합의였던 스마트폰 무시 전략을 깨고, 아이폰이라는 금단의 열매를 베어 문 탓에 박해를 받고 있다"고 분석하기도 한다.[14] 이석채 KT 회장은 "기업을 하는데 감정을 갖고 있으면 안 된다", "쇼옴니아는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는 홍길동 신세"라고 말하는 등[15][16] 삼성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한편, 아이폰에 굴욕을 맛본 삼성은 SK텔레콤과의 협력을 강화했다. SK텔레콤은 2010년 2분기에만 10종의 스마트폰을 출시하는 등 아이폰으로 잃었던 주도권을 되찾기 위한 반격을 시작했다.[17]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busan.com[...]
[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moveplaye[...] 2011-09-04
[3] 문서 갤럭시S2, 갤럭시U, 노리와 같이 영상전화를 지원하는 제품에 주로 쓰인다.
[4] 문서 LTE의 스펠링 E의 뜻인 Evolution에서 따왔다.
[5] 뉴스 휴대폰 ‘스펙 다운’ 논란 재점화 https://news.naver.c[...] 전자신문 2008-02-25
[6] 뉴스 '옴니아2' 국내가 해외보다 30% 비싸다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0-01-11
[7] 뉴스 삼성-LG, 스마트폰으로 도약 https://news.naver.c[...] 지디넷코리아 2009-12-21
[8] 뉴스 아이폰 이용자 만족도, 옴니아에 크게 앞서 https://news.naver.c[...] 프레시안 2010-01-25
[9] 뉴스 스마트폰 브랜드 선호도, 애플 57%…삼성 28% http://www.ebn.co.kr[...] 산업뉴스 2010-05-03
[10] 뉴스 이석채 KT 회장 “쇼옴니아는 홍길동”…삼성에 분통 https://news.naver.c[...] 지디넷코리아 2010-04-22
[11] 뉴스 스마트폰 선점 KT -아이폰에 SKT - 삼성 연합공세 http://www2.enewstod[...] 이뉴스투데이 2010-04-27
[12] 뉴스 갈등의 골 깊어지는 삼성전자와 KT http://www.etnews.co[...] 이티뉴스 2010-04-27
[13] 뉴스 삼성 첫 안드로이드폰 ‘갤럭시A’ 출시… 아이폰에 도전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10-04-27
[14] 뉴스 ‘돌아올 수 없는 다리’ 건너는 KT·삼성 http://media.daum.ne[...] 시사저널 2010-05-06
[15] 뉴스 KT이석채, 삼성에 "감정 갖고 기업하나" …삼성 "아쉽다" http://www.vop.co.kr[...] 민중의 소리 2010-04-22
[16] 뉴스 삼성, 이통사 단말공급 차별 http://www.dt.co.kr/[...] 디지털타임스 2010-05-19
[17] 뉴스 SK텔 스마트폰 대공습..70일간 10종 출시 https://news.naver.c[...] 파이넨셜뉴스 2010-04-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